논문작성요령
- 원고작성
-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,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漢子로 표시하거나 ( )속에 원어를 써넣는다.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쓴다.
- 편집용지는 사용자 정의에서 폭 190mm, 길이 260mm로 하며, 용지여백은 위/아래 21.5mm, 좌/우 25.0mm, 제본 0mm, 머리말 13.0mm, 꼬리말 10.0mm로 설정한다.
- 논문에 사용되는 글자와 문단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
- 요약은 10행 내외로 논문내용에 대한「요약」을 논문 제목 다음 부분에 제시한다.
- 요약 다음에 ≪주제어≫를 5개 이내 선정하여 (영문)과 함께 기재한다.
예: 타당화(validity), 신뢰도(reliability)
- 원고 분량 : 가로 80열, 세로 33행으로 작성한 원고 20쪽 이내(참고문헌 포함)를 원칙으로 한다.
-
제목의 번호 붙임
- 1단계 : Ⅰ, Ⅱ, Ⅲ …
- 2단계 : 1, 2, 3 …
- 3단계 : 1), 2), 3)
-
인용
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, 긴 경우(3행 이상)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.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아래, 위를 본문에서
한 줄씩 비우고 좌우로 각각 3글자씩을 들여 쓴다.
-
본문 내의 인용 문헌
-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, 괄호 속에 발행 연도 또는 발행 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.
예 : 이 문제에 관하여 김영희 홍길동(2000)은… 김영희(2014: 30-46)은…
(*이는 2014년도 문헌의 페이지 30-46을 의미함)
-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,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.
예 : 한 연구(김영희, 2000)에 의하면…
-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, 동양서는 가나다순으로 서양서는 알파벳순으로 기재하되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( ; )으로 가른다.
예 : 최근의 연구(김영희, 1996; 김철수, 2000)에 의하면…
- 한 저자의 다수 저서를 인용할 경우, 발행 연도순으로 기재한다.
예 : 김철수(1993, 1995, 1997)은…
- 저자가 3인 이상일 경우, 처음 제시할 때는 모두 기재하지만 두 번째 이후로는 ‘~ 외’ 또는 ‘~ 등’으로 한다.
예 : 김영희, 김철수, 김미란(1990)에 의하면…
Michael, Kagan, Mussen(1995)에 의하면…(*저자가 다수이면서 최초로 인용된 경우)
예 : 김영희 외(2000)는…
예 : 한 연구(김영희 외, 2000)에 의하면…
Michael등(1995)에 의하면…(*저자가 3인 이상이며 두 번째 또는 그 이상 인용된 경우)
- 여러 나라 저자의 문헌을 인용했을 경우, 한·중·일·서양인 순으로 열거한다.
예: 최근의 연구들(김영희, 1990; Michael, 1995)은…
-
참고 문헌록 작성
-
단행본의 경우
국내 단행본의 저서명은 중고딕체로 기입하고, 영문 단행본의 저서명은 첫 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,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적으며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
예 : 김영희(2006). 유아교육학. 서울: 문화사.
예 : DeVries, R., & Zan, B. (1994). Moral classrooms, moral children: Creating a constructivist atmosphere in early education. New York: Teachers College Press.
-
정기 간행물 속의 논문의 경우
국내 정기 간행물의 학회지명과 권수는 중고딕체로 기입하고, 영문 정기 간행물의 제목은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, 나머지는 소문자로 기입하며, 간행물의 학회지명과 권수는
이탤릭체로 표기하되, 학회지명의 각 단어를 대문자로 표기한다.
예 : 강선보, 박의수, 김귀성, 송순재, 정윤경, 김영래, 고미숙(2008).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연구, 교육문제연구, 30, 1-28. (*반드시 해당 페이지를 밝힐 것)
예 : Rest J. R., Thoma S. J., & Bebeu M. J. (1999). DIT2: Devising and Testing a Revised Instrument of Moral judgement,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, 91, 644-659.
-
학위 논문의 경우
예 : 정영희(2012).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: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 유능성.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예 : Michael, W. B. (1997). Meta-evaluation of selected bilingual education projects.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, University of America.
-
번역서의 경우
예 : Lewis, D. (2008). 현대 그림책 읽기. [Reading contemporary picturebooks]. (이혜란 역). 서울: 작은씨앗. (원본발간일 2001년).
예 : Genette, G. (1997). Paratexts: thresholds of interpretation. (J. E. Lewin, Trans.). Cambridge: Cambridge University Press. (original work published 1987).
-
연구보고서의 경우
예 : 장상호 (1991).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.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보고서, 9-12.
예 :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. (1980). Writing achievement 1969-79: Result from the third national writing assessment. Vol. Ⅲ:9-year-olds
(Report No.NAEP-R-10-W-03). Denver, Colo: 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.(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. ED 196044).
-
자료집
예 : 김세희(2011). 독특한 예술작업으로써의 그림책 번역 출간.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춘계 학술대회, 세계화를 향한 그림책 번역, pp. 1-15. 4월 30일.
서울: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제회의실.
-
웹 사이트 자료
예 : 김혜금(2002). 유아의 미술 감상지도. http://www.educare.or.kr에서 2002년 10월 8일 인출.
-
참고 문헌은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것으로 제한한다.
-
참고 문헌의 배열순서는 동양서(한, 중, 일), 서양서 순으로 열거하되, 동양서는 저자 성명의 가/나/다 순으로, 서양서는 저자 성명의 알파벳순으로 열거한다.
-
동양서 참고 문헌 작성 시에 단행본과 정기 간행물의 책명은 중고딕체로 작성하고, 정기 간행물 내의 논문 제목은 신명조체로 작성한다.
-
여기에 예시한 이외의 서양 참고 문헌작성법은 APA(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)양식을 따른다.
-
표와 그림
-
표는 본문 중에 삽입하고 표 제목은 표의 상단에 〈표 1〉, 〈표 2〉…로 일련번호와 함께 적는다.
자료 출처는 표의 하단에 밝히며, 4항의 참고 문헌록 작성 요령을 따른다.
표에 대해 본문 내에서 기술할 때에는 ‘표 1에 의하면, 표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… ’ 등으로 제시한다.
-
표를 그릴 때 최상단은 굵게 그린다. 좌우측에는 선을 그리지 않는다.
-
통계 결과표를 작성할 때, 통계치(예: t, F, M, SD)는 모두 이탤릭체로 하고, 유의도 수준 p는 표 하단 왼편에 제시한다.
-
그림은 본문 주에 삽입하고 그림 제목은 그림의 하단에 [그림 1], [그림 2]로 일련번호와 함께 적는다. 자료 출처는 그림의 하단에 밝히며, 4항의 참고 문헌록 작성 요령을 따른다.
-
영문초록(영문원고에는 국문초록)
영문초록 : 600단어 이내
국문초록 : 가로 80열, 세로 32행 2쪽 이내
- 투고된 원고는 원칙적으로 반환하지 않는다.
-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본 학회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.